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09-05-19~20 (충북 단양 온달산성에서 별일주) - 단양 온달산성 별돌리기

Time is ~ing

by 핌프맨 2009. 5. 22. 00:35

본문

펜탁스 천체방 해피용님 덕에 다녀온 온달산성..

얼마 전에 다녀온 사진들을 보니 꼭 가고 싶다고 맘먹고 있었는데..

이렇게 가서 사진을 찍고 오니 좋네요..

저에 저질체력으로 인해 마니 산성까지 가는데 힘들었지만..

힘들게 가서 들러보고 사진을 찍으니..

많은 앵글이 다양하게 나와서 여름밤이 짧더군요..

디카로는 3시간, 약 4시간 이렇게 2컷 이지만..

필름으로는 1시간씩 7컷을 정신없이 찍었습니다..

근데 이날 이상하게 전투기들이 많이 다녀서 신경 쓰이고..

은하수가 잘 보이지 않아 좀 거시기했습니다..

그래도 사진들이 다 잘 나와 줘서 다행이네요..^^

다음에 기회 되면 또 가고 싶네요..

겨울에 가면 밤이 길어서 사진도 많이 찍을 수 있을 것 같은데..ㅎㅎ

암튼 좋은 곳에서 사진 찍고 와서 좋았습니다..^^

 

 

 

*온달산성 [단양온달산성]*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
사적 제264호. 둘레 682m. 석회암과 사암으로 쌓은 석축산성으로서,
성벽이 산의 정상 부근부터 북쪽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의 윗부분에
둘려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성벽의 구조는 주로 내외협축(內外夾築)의
형식을 취해 축조되었다. 1989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조사를 했다.
성벽의 기단부는 암반을 이용해 기초를 삼고 있으나 일부 구간에는
암반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계단상으로 기단석축을 한 곳도 있다.
이러한 축조방법은 고구려 산성에 많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또한 수축된 북쪽 성벽의 기단 보축(補築)은 45° 각도로 역삼각형의
돌쌓기를 하고 거기서 1m 안쪽에 성벽이 축조되는 방법을 사용했다.
보은의 삼년산성에서 이러한 방식의 가장 전형적인 예가 나타나고 있다.
성문은 남문·동문·북문의 3군데가 확인되고 있는데, 통행을 위한 보조시설을
갖추고 있다. 성 안에 본래 우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매몰되고 없다.
성 안의 물을 밖으로 빼는 배수시설인 수구(水口)가 북쪽 성벽에 있는데
높이 65㎝의 긴 사다리꼴이다.
성 안에서 채집된 유물로서 토기편·기와편·숫돌·철화살촉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토기편들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로 한정되고 있어 그 사용기간은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였음을 알 수 있다.
온달산성은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아단성(阿旦城)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원래 아단성은 396년 고구려가 백제로부터 공취한 58성 700촌 가운데
하나인데 실지회복을 위하여 출정한 고구려 온달장군의 전사장소라는
전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출처: 브리태니커)

 

 

 

 

 

 

촬영 일짜 : 2009년 05월 19일
촬영 장소 : 충북 단양 온달산성
촬영 시간 : PM 08: 45~ PM 11: 45 (총 3시간 촬영)
사용카메라 : 캐논 450D
사용 렌즈 : 토키나 FISH-EYE 10-17
조리개 : F3.5
ISO : 400
총 촬영 컷 : 노출 30초씩 330장 (포토샵 합성)
보조 장비 : 삼각대, 유선 릴리즈(연사모드-벌브락), 쑥찜팩(이슬 방지용) 

 

 

 

 

 

 

 

 

 

 

 

 

 

 

 

 

 

 

촬영 일짜 : 2009년 05월 20일
촬영 장소 : 충북 단양 온달산성
촬영 시간 : AM 12: 02~ AM 03: 52 (총 3시간 50분 촬영)
사용카메라 : 캐논 450D
사용 렌즈 : 토키나 FISH-EYE 10-17
조리개 : F3.5
ISO : 400
총 촬영 컷 : 노출 30초씩 341장 (포토샵 합성)
보조 장비 : 삼각대, 유선 릴리즈(연사모드-벌브락), 쑥찜팩(이슬 방지용)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